... | ... | |
---|
35 | 35 | ||<-4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 |
---|
36 | 36 | [[tuto1-1.png]]}}} || |
---|
37 | 37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4> 112 || |
---|
38 | | || '''타일 수''' ||<-4> 10 || |
---|
| 38 | || '''타일 수''' ||<-4> 9 || |
---|
39 | 39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4> 일자 길 || |
---|
40 | 40 | 이 게임의 첫 세계의 첫 튜토리얼인 만큼 게임의 메커니즘 자체를 익히는 튜토리얼이다. |
---|
41 | 41 | BPM도 112로 굉장히 느리다. |
---|
... | ... | |
---|
46 | 46 | ||<-4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 |
---|
47 | 47 | [[tuto1-2.png]]}}} || |
---|
48 | 48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4> 112 || |
---|
49 | | || '''타일 수''' ||<-4> 18 || |
---|
| 49 | || '''타일 수''' ||<-4> 17 || |
---|
50 | 50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4> 90° 아래로 꺾인 길 || |
---|
51 | 51 | 길 모양이 바뀌면 어떤 식으로 박자가 바뀌는지를 처음 알게 되는 튜토리얼이다. |
---|
52 | 52 | Z굴곡 패턴은 원래 박자에서 반박자 밀려서 입력한다고 생각하면 된다.[* 물론 보통 처음 이 게임에 입문한 사람들은 '타일 각도에 따른 박자 변화'를 익힌다기보단 그냥 행성이 돌아가는 것을 보고 치는게 대부분이다. ] |
---|
... | ... | |
---|
59 | 59 | ||<-4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 |
---|
60 | 60 | [[tuto1-3.png]]}}} || |
---|
61 | 61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4> 112 || |
---|
62 | | || '''타일 수''' ||<-4> 18 || |
---|
| 62 | || '''타일 수''' ||<-4> 17 || |
---|
63 | 63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4> 90° 위로 꺾인 길 || |
---|
64 | 64 | 90° 아래로 길이 꺾여 반박자 느리게 입력해야 했던 Z굴곡과 달리 90° 위로 꺾여 반박자 빠르게 입력해야 하는 S굴곡을 배우는 튜토리얼이다. |
---|
65 | 65 |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 |
---|
... | ... | |
---|
71 | 71 | ||<-4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 |
---|
72 | 72 | [[tuto1-4.png]]}}} || |
---|
73 | 73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4> 112 || |
---|
74 | | || '''타일 수''' ||<-4> 18 || |
---|
| 74 | || '''타일 수''' ||<-4> 17 || |
---|
75 | 75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4> Z굴곡과 S굴곡의 복습 || |
---|
76 | 76 | 이전 튜토리얼들에서 배운 Z굴곡과 S굴곡을 다시 익히는 튜토리얼이다. |
---|
77 | 77 | |
---|
... | ... | |
---|
81 | 81 | ||<-4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 |
---|
82 | 82 | [[tuto1-5.png]]}}} || |
---|
83 | 83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4> 112 || |
---|
84 | | || '''타일 수''' ||<-4> 18 || |
---|
| 84 | || '''타일 수''' ||<-4> 17 || |
---|
85 | 85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4> 연속된 S굴곡 || |
---|
86 | 86 | 이전 튜토리얼에서 배운 S굴곡이 연달아 나오면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익히는 튜토리얼이다. |
---|
87 | 87 | 박자를 표현하자면 다음과 같다. |
---|
... | ... | |
---|
93 | 93 | ||<-4><nopad> {{{#!folding [ 전체 튜토리얼 트랙 보기 ] |
---|
94 | 94 | [[tuto1-6.png]]}}} || |
---|
95 | 95 | ||<width=25%> '''BPM''' ||<-4> 113.6 || |
---|
96 | | || '''타일 수''' ||<-4> 16 || |
---|
| 96 | || '''타일 수''' ||<-4> 15 || |
---|
97 | 97 | || '''배우는 패턴''' ||<-4> 연속된 Z굴곡, 달팽이 타일 || |
---|
98 | 98 | 1-5와 마찬가지로 이전 튜토리얼에서 배운 Z굴곡이 연달아 나오면 어떻게 처리해야 하는지 익히는 튜토리얼이다. |
---|
99 | 99 | 또한 처음으로 '''{{{#0000ff 달팽이}}}''' 타일이 등장하는데, 이 타일을 밟으면 행성의 공전 속도, 즉 BPM이 느려진다. 이 튜토리얼을 포함해서 대부분의 공식 레벨에서는 달팽이 타일이 BPM을 2의 거듭제곱으로 줄이지만, 커스텀 레벨에서는 아닌 경우도 존재한다. |
---|
... | ... | |
---|